냉동하면 일단 위험한 식품 7가지 ― 두부·콩나물·떡, 왜 얼리면 안 될까?

잘못 얼리면 식감·맛·안전까지 바뀌는 생활 속 보관법

많은 가정의 냉동실은 늘 꽉 차 있습니다.

남은 반찬, 떡, 육류, 잎채소…
'일단 얼리면 보관은 해결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음식이 냉동에 강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냉동하면 맛·식감·향이 완전히 망가지거나,
해동 과정에서 안전성까지 떨어지는 식품들이 많습니다.


냉장고의 냉동실 안에 두부, 콩나물, 떡, 잎채소, 커피 원두, 삶은 달걀이 비닐팩 또는 밀폐 용기에 담겨 정리된 모습으로, 냉동하면 품질이 떨어지는 식품들을 보여주는 장면.




1) 두부 – 물이 90% 넘는 식품은 냉동하면 조직이 완전히 변한다

● 왜 냉동하면 안 될까?

두부는 내부가 거의 ‘물’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수분이 얼면서 세포 사이에
구멍(기공)이 생기고, 스펀지 같은 식감으로 변합니다.

● 냉동 후 해동하면 생기는 문제

- 쉽게 부서짐
- 찌개·조림에 넣어도 ‘두부 맛’이 아니라 ‘퍽퍽한 조직’이 남음
- 두부 특유의 고소함이 약해짐

● 대안 보관법

- 2~3일 내 조리할 계획이라면 냉장 보관 유지
- 장기 보관 필요 시 두부요리 형태(두부조림·두부볶음)
가열 후 냉동하는 것이 훨씬 안정적



2) 콩나물 – 냉동 후 해동하면 비린내가 가장 강하게 올라오는 채소

● 왜 냉동하면 안 될까?

콩나물은 세포벽이 매우 약합니다.

냉동하면 세포가 터지며 수분이 빠져나가
비릿한 냄새가 평소보다 훨씬 강해집니다.

● 놓치기 쉬운 문제

콩나물국 끓이다 남은 생콩나물을 ‘아까워서’ 얼렸다가
비린내 때문에 못 먹는 경우가 매우 많음.

● 대안 보관법

- 생콩나물 → 절대 냉동 X
- 꼭 보관해야 한다면 데친 뒤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냉동


똑똑한 채소, 과일 보관법 확인해보세요(농촌진흥청)!



3) 떡 – 전통 떡 대부분은 냉동하면 ‘돌덩이’처럼 딱딱해진다

● 왜 냉동하면 딱딱해질까?

떡은 전분 식품입니다.

전분은 냉동 후 해동 과정에서
노화(레트로그레이션)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그 결과, 해동해도 다시 말랑해지지 않는다.

● 특히 냉동에 약한 떡

- 인절미
- 절편
- 가래떡

● 대안 보관법

- 바로 먹지 않을 떡은 작게 잘라 냉동 + 해동 즉시 조리
- 인절미는 깨·콩고물 묻은 상태 그대로 냉동, 그래도 식감은 조금 손상됨



4) 잎채소 (상추·깻잎·부추 등)

● 왜 냉동하면 안 될까?

잎채소는 수분 비율이 매우 높고,
세포벽이 거의 얇은 막 수준입니다.

냉동 시 세포벽이 터지면서 물컹하고 쓴 향이 진해집니다.

● 특징

- 쌈 채소류의 ‘아삭함’이 사라지고
- 향이 이질적으로 변해 생식 불가

● 대안 보관법

- 1~2일 내 섭취가 가장 좋고
- 부추·깻잎은 볶음이나 장아찌로 가열 후 냉동은 가능



5) 초발효 김치(겉절이 정도) – 냉동하면 물과 양념이 완전히 분리된다

● 많은 사람들의 오해

'김치는 냉동해도 되지 않나?'

익은 김치는 가능하지만,

겉절이·초기 김치는 냉동하면
속이 물러지고, 해동 시 양념·수분이 분리됩니다.

● 대안 보관법

- 70~80% 정도 익어 발효가 안정된 상태라면 냉동 가능
- 겉절이는 1~2일 내 먹는 것이 최선



6) 개봉한 커피 원두 – 냉동과 해동 반복은 향을 완전히 날린다

● 왜 냉동이 문제일까?

커피 원두는 ‘향’을 지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하지만 개봉 후 냉동했다 해동하면
- 수분 흡수
- 냉동고 냄새 흡착
- 향 성분(휘발성 오일) 손실
이 동시에 발생합니다.

● 대안 보관법

- 개봉 후에는 냉동 금지
- 밀폐된 상태 + 냉암소 보관
- 소분하여 소비하는 방식이 가장 안전



7) 삶은 계란 – 흰자가 냉동하면 고무재질처럼 변한다

● 왜 냉동하면 안 될까?

삶은 계란의 흰자는 단백질 구조가 단단히 응고되어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냉동하면 세포 구조가 붕괴되며 ‘고무식감’으로 변함.

● 대안 보관법

- 삶은 계란은 냉장 2~3일 내 섭취
- 노른자는 분리해 보관 가능하지만 일반 가정에서 실효성 낮음



◾️그렇다면, 왜 어떤 식품은 ‘냉동에 약한가?’

아래 3가지 원리만 알면 대부분 설명됩니다.

1) 세포벽 파괴

수분이 얼며 팽창 → 세포를 터뜨림
→ 식감 손실, 물컹함, 색 변화

2) 단백질 변성

열이나 냉동 과정에서 구조가 변해
→ 고무처럼 질겨짐
→ 예: 삶은 계란, 일부 유제품

3) 전분 노화

냉동 + 해동 과정에서 전분이 굳어
→ 떡·감자류에서 딱딱해지는 현상 발생



◾️가장 자주 하는 냉동 보관 실수 5가지

1) 상온 해동

가장 큰 식중독 위험 구간(5~60°C). 절대 금지.

2) 재냉동

냉장 해동 후 즉시 재냉동은 안전 문제는 없지만
식감과 수분 손상이 매우 큼.

3) 냉동실 과적재

냉기가 순환되지 않으면
‘반쯤 녹았다 다시 얼기’ 현상이 반복됩니다.

4) 얇은 비닐·일반 포장재 사용

냉동 burn → 수분 손실 → 맛·향 저하.

5) 냉동고 문 자주 열기

온도 변동으로 인해 품질 저하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제대로 얼리면 오래가고, 제대로 해동해야 맛이 산다

냉동 자체는 문제보다 방법의 문제입니다.

● 가장 안전한 해동 순위

1) 냉장 해동
2) 흐르는 찬물
3) 전자레인지(즉시 조리할 때)
※ 상온 해동은 절대 금지

● 냉동 보관 기본 규칙

- 포장 재질은 반드시 ‘냉동 전용’
- 공기 최대 배출(산패 예방)
- 냉동 적정 기간 준수


냉동 보관은 식품을 오래 보관할 수 있는 훌륭한 도구지만,
모든 음식을 냉동해도 괜찮다는 뜻은 아닙니다.

특히 가정에서 자주 먹는 두부·콩나물·떡·김치처럼
'냉장·냉동 선택에 따라 맛과 안전이 크게 좌우되는 식품'은
올바른 방식으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지금 냉동실을 한 번 열어보고,
혹시 잘못 보관한 식품이 있다면 오늘 정리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다음 글도 한번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