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주부꿀팁인 게시물 표시

냉동하면 일단 위험한 식품 7가지 ― 두부·콩나물·떡, 왜 얼리면 안 될까?

이미지
잘못 얼리면 식감·맛·안전까지 바뀌는 생활 속 보관법 많은 가정의 냉동실은 늘 꽉 차 있습니다. 남은 반찬, 떡, 육류, 잎채소… '일단 얼리면 보관은 해결된다'는 믿음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음식이 냉동에 강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냉동하면 맛·식감·향이 완전히 망가지거나, 해동 과정에서 안전성까지 떨어지는 식품들이 많습니다. 1) 두부 – 물이 90% 넘는 식품은 냉동하면 조직이 완전히 변한다 ● 왜 냉동하면 안 될까? 두부는 내부가 거의 ‘물’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 수분이 얼면서 세포 사이에 구멍(기공)이 생기고, 스펀지 같은 식감 으로 변합니다. ● 냉동 후 해동하면 생기는 문제 - 쉽게 부서짐 - 찌개·조림에 넣어도 ‘두부 맛’이 아니라 ‘퍽퍽한 조직’이 남음 - 두부 특유의 고소함이 약해짐 ● 대안 보관법 - 2~3일 내 조리할 계획이라면 냉장 보관 유지 - 장기 보관 필요 시 두부요리 형태(두부조림·두부볶음) 로 가열 후 냉동하는 것이 훨씬 안정적 2) 콩나물 – 냉동 후 해동하면 비린내가 가장 강하게 올라오는 채소 ● 왜 냉동하면 안 될까? 콩나물은 세포벽이 매우 약합니다. 냉동하면 세포가 터지며 수분이 빠져나가 비릿한 냄새가 평소보다 훨씬 강해집니다. ● 놓치기 쉬운 문제 콩나물국 끓이다 남은 생콩나물을 ‘아까워서’ 얼렸다가 비린내 때문에 못 먹는 경우가 매우 많음. ● 대안 보관법 - 생콩나물 → 절대 냉동 X - 꼭 보관해야 한다면 데친 뒤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냉동 똑똑한 채소, 과일 보관법 확인해보세요(농촌진흥청)! 3) 떡 – 전통 떡 대부분은 냉동하면 ‘돌덩이’처럼 딱딱해진다 ● 왜 냉동하면 딱딱해질까? 떡은 전분 식품입니다. 전분은 냉동 후 해동 과정에서 노화(레트로그레이션) 가 빠르게 진행됩니다. 그 결과, 해동해도 다시 말랑해지지 않는다. ● 특히 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