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현미밥 건강인 게시물 표시

현미밥, 정말 몸에 좋을까? - '1급 발암물질' 논란의 진실과 건강하게 먹는 법

이미지
다이어트를 시작하거나 혈당을 관리하려는 사람들에게 ‘현미밥’은 거의 공식처럼 등장합니다. '백미보다 건강하다', '비타민이 풍부하다', '변비에도 좋다.' 이런 말,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최근 미국 미시간주립대(Michigan State University) 연구에서 놀라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미에는 ‘무기비소(inorganic arsenic)’ , 즉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지정한 1급 발암물질 이 백미보다 훨씬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겁니다. 몸에 좋다고 믿었던 현미밥, 정말 먹으면 위험한 걸까요? 아니면 단순히 과장된 뉴스였을까요? 1. 현미, 왜 건강식으로 불릴까 — 우리가 믿어온 이유 사실 현미는 단순히 ‘쌀의 덜 깎인 형태’가 아닙니다. 껍질(왕겨)만 벗겨내고 쌀눈과 미강층(껍질 아래의 영양층) 을 그대로 남겨둔 식품으로, 쌀이 가진 가장 풍부한 영양소 들이 이 부분에 집중돼 있습니다. 구분 백미 현미 식이섬유 약 0.8g 약 3~4g (약 4~5배↑) 비타민 B군 대부분 정제 과정에서 손실 B1, B3, B6 풍부 미네랄 마그네슘, 아연 등 손실 Mg·Mn·P·Zn 풍부 항산화물질 거의 없음 감마오리자놀, 페룰산, 토코트리에놀 풍부 혈당지수(GI) 약 70 50~55 (낮음) 이 덕분에 현미는 단순한 탄수화물이 아니라, 혈당 조절·대사 건강·심혈관 개선 에 도움이 되는 곡물로 인정받았습니다. 하버드 공중보건대 연구(Hu et al., 2010)에 따르면 백미 대신 현미를 주 2회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