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벌 쏘임 응급처치인 게시물 표시

추석 벌초 가기 전 알아야 할 안전 수칙 - 벌 쏘임·뱀 물림 응급처치와 준비물

이미지
1. 매년 반복되는 사고, 당신은 준비되었나요? 추석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벌초와 성묘를 위해 산을 찾습니다. 조상을 기리는 의미 있는 시간이지만, 매년 이 시기에 되풀이되는 사고 가 있습니다. 바로 벌에 쏘이거나, 뱀에 물리는 사고 , 그리고 예초기·진드기 등으로 인한 다양한 야외 안전사고 입니다. ▶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벌쏘임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수는 총 91,401명 에 달합니다. 그중 2024년 한 해에만 19,911명이 병원을 찾았으며 , 특히 8월에만 23,406건이 집중 발생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소방청 발표에 따르면 , 2024년 8월 한 달 동안 벌집 제거 출동이 무려 114,421건 , 벌에 쏘여 119에 의해 이송된 인원도 2,225명 에 달했습니다. 2. 조심하지 않으면 누구나 당할 수 있는 3대 위험 1) 벌 쏘임 사고 – '말벌이 제일 위험합니다' 벌초 시즌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바로 벌에 쏘이는 사고 입니다. 특히 말벌은 독성이 강하고 집단 공격을 하기 때문에 치명적 입니다. ▶ 벌 종류별 특성 종류 특징 위험도 말벌 반복해서 쏠 수 있음, 크고 공격성 높음 매우 높음 땅벌 땅속이나 수풀에 숨어 있음, 옷 안으로 들어올 수도 있음 높음 꿀벌 한번 쏘면 침이 남고 죽음 중간 특히 조심할 시간대 는 오전 11시~오후 4시 , 장소는 묘역 주변, 덤불, 수풀 아래 입니다. 검은색 옷, 큰 움직임, 향수 냄새 등이 벌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절대 피해야 합니다. 💡 최근에는 벌 퇴치제나 기피제 사용에 대한 관심 도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 시에는 의약외품 표시 여부와 유해 성분 확인이 중요 합니다. 2) 뱀 물림 사고 – '가장 위험한 건 심리적 공황' 추석 즈음은 뱀이 활동하는 시기입니다. 덥고 습한 날, 수풀이 우거진 곳에서는 살아있는 뱀과 마주칠 가능성 이 큽니다. 문제는 놀란 나머지 뱀을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