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멸종 위기인 게시물 표시

기후 변화가 불러온 위기 - 멸종 위기 새를 구하는 드론 기술의 등장

이미지
기후 변화가 실제로 만드는 재앙들 ‘기후 변화’라는 단어는 이제 뉴스에서 하루도 빠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종종 기후 변화가 너무 추상적인 개념처럼 느껴진다고 말하곤 합니다. 폭염, 폭우, 산불… 모두 겪고 있지만 그것이 '지구 환경이 시스템적으로 무너지는 증거'라는 걸 체감하긴 어렵죠. 그러나 지금 이 순간, 하와이에서는 그 ‘시스템 붕괴’가 생명의 절박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와이 고유의 새들이, 단지 지구가 조금 더워졌다는 이유로 절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 하와이에서 벌어지는 일 – 새들이 죽어간다 하와이는 세계적으로도 독특한 생태계를 갖고 있는 섬입니다. 그중에서도 ‘허니크리퍼(honeycreeper)’는 하와이 특산의 작고 아름다운 새로, 꽃가루를 옮기고 씨앗을 퍼뜨리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때 50종이 넘는 허니크리퍼가 있었지만, 지금은 17종만 남았고 대부분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문제는 조류 말라리아 라는 치명적인 전염병입니다. 이 병을 퍼뜨리는 건 바로 ‘모기’입니다. 하와이에는 원래 모기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1800년대 포경선과 함께 유입된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서식지를 점점 넓혀갔습니다. 처음에는 낮은 지대의 열대 지역에만 있었기에, 허니크리퍼들은 상대적으로 서늘한 산지로 피신할 수 있었죠. 그러나 기후 변화로 평균 기온이 오르면서 모기들이 고산지대까지 침투 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새들이 피할 곳이 없습니다. 2023년, ʻ아키키키(ʻakikiki)라는 새는 결국 야생에서 기능적 멸종 선언 을 받았습니다. 하와이 환경보호국 조류 보호 프로젝트 확인! 2. 드론과 박테리아가 이 위기를 막는다 이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미국 조류보호협회(ABC)와 하와이 정부는 비범한 해결책을 꺼내 들었습니다. 바로 드론을 이용해 모기를 뿌리는 작전 입니다. 하지만 이건 단순히 모기를 더 퍼뜨리는 것이 아닙니다. 이 드론이 뿌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