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근로기준법인 게시물 표시

알바 첫날 전 꼭 확인! 근로계약서 작성할 때 빠뜨리기 쉬운 5가지 체크포인트

이미지
"근로계약서, 첫날 꼭 써야 하나요?" 처음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는 날, 사장님이 바빠 보이고 눈치도 보여서 '계약서는 나중에 써도 되겠지' 하고 그냥 일을 시작한 적 있으신가요? 아르바이트는 정식 취업처럼 느껴지지 않을 수 있지만, 분명한 근로계약 관계 입니다.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으면 나중에 임금을 못 받거나, 갑작스럽게 해고돼도 법적으로 보호받기 어려워질 수 있어요. 특히 첫 알바라면 더더욱! 계약서를 어떻게 쓰고,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알바 계약 전, 꼭 근로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 구두계약만으로는 법적 보호가 어렵습니다 사장님이 "괜찮아~ 주휴수당도 챙겨줄게"라고 말해도, 말뿐인 약속은 증거가 되지 않습니다. 임금이나 근로시간, 수습기간 등 중요한 조건은 반드시 문서로 남겨야 나중에 분쟁이 생겼을 때 자신의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상, 서면 계약은 의무입니다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르면 , 사용자는 임금, 근로시간, 휴게시간 등 주요 근로조건을 서면으로 명시하고 이를 근로자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이를 어길 경우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 됩니다. 근로기준법 알아보기  지금 일하고 있는 곳이 소규모 카페든, 프랜차이즈 매장이든 관계없이 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서면계약 없이 일을 시키는 건 불법 이라는 사실, 꼭 기억하세요. 계약서 미작성으로 발생한 실제 피해 사례 실제로, 계약서를 쓰지 않고 알바를 시작한 대학생 A씨는 퇴사 후 주휴수당을 요구했지만 사장은 "일한 지 일주일도 안 됐잖아"라며 지급을 거부했습니다. 증거가 없던 A씨는 결국 임금을 모두 받지 못했죠. 이처럼 서면 계약 없이 시작한 일은 나중에 말싸움에서 밀릴 수밖에 없습니다. 처음부터 계약서를 요구하고, 꼼꼼히 확인하는 것 , 그것이 나를 지키는 시작입니다. 💡 계약서 내용을 확인하셨나요? 아래 체크포인트를 꼭 짚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