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국민재난안전포털인 게시물 표시

지진, 이제 남의 일이 아니다 - 우리 가족을 위한 보험 가입 안내

이미지
미얀마에서는 2025년 3월 30일 오전 4시 36분(현지 시각)에 규모 6.8의 강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진앙지는 미얀마 만달레이 지역으로, 이 지진으로 인해 최소 50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수천 채의 건물이 파손되었으며, 도로와 교량 등 인프라에도 큰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피해는 지진 대비 부족과 내진 설계 미비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해년마다 뉴스를 통해 세계 곳곳에서 지진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볼 수가 있고, 우리나라도 해마다 지진의 강도만 다를 뿐 피해가 발생되고 있어서 안심할 상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지진 발생 현황 2016년 9월 12일 경주 지진 : 규모 5.8, 국내 관측 사상 가장 강력한 지진으로 건물 파손 등 재산 피해 발생 2017년 11월 15일 포항 지진 : 규모 5.4, 다수의 부상자와 건물 피해 발생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1978년부터 2020년까지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연평균 약 10회 발생하였습니다. 이는 한반도가 지진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하지 않음을 시사합니다. 한반도의 지질학적 특성과 지진 위험성 우리가 사는 한반도는 지구의 단단한 '퍼즐 조각'들 중 하나인 유라시아 판 위에 놓여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안정적인 지역으로 분류되지만, 바로 인접한 주변 판들이 문제입니다.  일본은 태평양 판과 필리핀해 판이 만나는 '판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어 세계적으로 지진이 가장 빈번한 국가 중 하나입니다. 이처럼 주변 판의 움직임에서 발생한 에너지가 한반도 내부의 단층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한반도에는 활성 단층이 여러 곳에 존재하고 있으며, 이 단층들이 누적된 지각 에너지를 갑자기 방출하면 지진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2016년 경주 지진과 2017년 포항 지진도 이러한 내부 단층 활동에 의해 발생한 사례입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지각 판 구조와 각 판이 속한 국가,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