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건강 오해인 게시물 표시

제로칼로리, 진짜 0일까? 감미료의 단맛 뒤에 숨은 오해와 진실

이미지
'제로 슈거가 건강하다?' 그 착각의 시작 마트나 편의점에서 물을 사려다 보면, 이제는 물보다 더 눈에 띄는 게 있습니다. 바로 '제로(ZERO)'라는 이름을 단 음료들입니다. 제로 칼로리 콜라, 제로 슈거 식혜, 무설탕 이온음료까지. 제품명이 달라도 하나같이 강조하는 메시지는 똑같습니다. '단맛은 그대로지만, 건강에는 덜 해롭습니다.' 이런 문구들을 보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이렇게 생각하게 됩니다. '어? 그럼 이건 설탕이 없으니까 많이 마셔도 괜찮은 거 아냐?' 정말 그럴까요? 1. 제로 식품이 쏟아진다 – 왜 이렇게 많아졌을까? 제로 제품은 단순한 유행이 아닙니다. 이제는 식문화의 한 흐름 이자, 식품 산업의 주력 카테고리 입니다. 음료에서 시작된 제로 열풍은 → 과자, 젤리, 초콜릿, 빵, 시리얼, 잼, 라면, 심지어 조리식품과 의약외품(자양강장제, 구강청결제 등)으로까지 확산됐습니다. 그 배경에는 세 가지 힘이 작용합니다.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 인식 변화 정부의 당류·나트륨 저감 정책 (식약처, 2010년대 중반부터 지속) 기업 입장에서 가공비용은 낮추고, 고가 마케팅이 가능한 절호의 상업 전략 말 그대로 '상술과 건강의 경계'에서 영리하게 탄생한 흐름인 것입니다. 2. 단맛은 그대로, 설탕은 없다고? 감미료의 정체 제로 제품의 핵심은 ‘설탕이 없다’가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설탕 대신 감미료를 넣었다’ 는 뜻입니다. 그럼 이 감미료들은 어떤 물질일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 허가된 비영양 감미료(NNS) 는 총 22종입니다. 이 중 특히 많이 쓰이는 감미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감미료 단맛 강도 (설탕 대비) 특징 아스파탐 200배 단맛이 강하고 깔끔함. 단, PKU 환자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