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해외결제 주의사항인 게시물 표시

해외 카드 결제할 때 'KRW' 누르지 마세요! 수수료 줄이는 현지 통화 결제법 정리

이미지
해외에서 ‘원화 결제’ OK 누르셨나요? 생각보다 조용한 지갑 털림의 시작입니다 해외여행 중 카드 결제를 하려 할 때, 단말기 화면에 이렇게 표시된 걸 본 적 있으신가요? 'Pay in KRW or Local Currency?' 눈앞에 익숙한 'KRW(원화)'가 보이면, ‘내 돈인데 원화로 결제하면 편하겠지’ 하는 생각이 들기 쉽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선택이, 여러분 지갑에서 환전 수수료를 두 번이나 빼가는 ‘숨은 덫’ 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해외여행이나 직구에서 똑똑하게 결제하고 수수료를 아끼는 핵심 팁 을 알아보겠습니다. 왜 원화 결제가 문제일까? ‘DCC’의 정체부터 알아봅시다 해외 결제 시 단말기에서 'KRW'를 선택하면, DCC(Dynamic Currency Conversion) 라는 서비스가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이 서비스는 외형상 ‘친절한 기능’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중 환전 구조 로 인해 수수료 부담이 큽니다. 💸 DCC의 수수료 구조 - 이렇게 두 번 털립니다 ① 현지 통화 → 원화 (상점 환전) 상점이 자체 고환율로 원화로 바꿔 결제 처리  → 최대 3~8%의 수수료 부과 가능 ② 원화 → 달러 → 원화 (카드사 처리) 결제 내역이 다시 국제 결제 브랜드(비자/마스터 등)를 거쳐 달러로 바뀌었다가 다시 원화로 재환전 → 1~1.1% 국제 브랜드 수수료 + 0.2~0.3% 해외 이용 수수료 ※ 특히 해외 이용 수수료 는 카드사마다 상이하므로, 사전에 본인의 카드 조건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국 총 3~10%의 손해! 100만 원 결제하면, 3만~10만 원을 무심코 더 낼 수 있습니다. 👉 다음 파트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면 이 수수료를 피할 수 있는지, 현지에서 사용하는 문장부터 카드 선택 팁까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 어떻게 피할 수 있을까? 현지에서 지갑을 지키는 행동법 해외여행 중 수수료 폭탄을 피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