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퓨어올리브유인 게시물 표시

올리브유 라벨의 함정, 엑스트라버진 vs 퓨어 숨은 의미와 고르는 법

이미지
1. 마트에서 마주친 ‘퓨어 올리브유’의 진실 마트 진열대에 올리브유가 빼곡히 놓여 있죠. 그중 'Pure Olive Oil'이라는 문구를 보면 왠지 더 건강하고 순수한 기름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퓨어(Pure)'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순수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오히려 정제 과정을 거친 기름에 버진 올리브유를 조금 섞어 놓은 혼합유 를 부드럽게 표현한 마케팅 용어일 뿐이죠. 많은 소비자들이 '올리브유라면 다 좋은 거 아닌가?' 하고 별생각 없이 장바구니에 담지만, 사실 라벨 속에 숨겨진 의미를 알면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올리브유, 다른 기름과 무엇이 다를까? 콩기름, 포도씨유, 해바라기씨유 같은 씨앗 기름은 씨앗을 압착하거나 정제해서 얻습니다. 반면 올리브유는 과육에서 바로 짜낸 기름 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올리브유는 올리브 열매의 ‘즙’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고, 이 과정이 화학적 정제가 아닌 물리적 압착 으로만 이루어진다면 '버진(virgin)' 등급이 됩니다. 3. 등급을 나누는 핵심 기준 - 산도(Free Acidity) 올리브유 품질을 평가할 때 가장 중요한 지표는 산도(Acidity, FFA) 입니다. 산도가 낮을수록 신선하고 좋은 품질을 의미합니다. 산도는 올리브 열매의 상태, 수확 후 보관 시간, 추출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산도별 올리브유 분류 (국제올리브위원회 IOC 기준) 엑스트라버진 (Extra Virgin) : 산도 ≤ 0.8% 버진 (Virgin) : 산도 0.8 ~ 2% 람판테 (Lampante) : 산도 > 2% (식용 부적합, 정제 필요) 여기까지만 알아도 '라벨에 뭐라고 쓰여 있나'를 확인하는 습관이 생깁니다. 국제올이브위원회 확인해 보세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