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작은 사람은 왜 여름에 더 더울까? 복사열의 과학과 폭염 대처법

여름 한낮, 아스팔트 위를 걸어본 적이 있나요? 햇빛이 강하게 내리쬐는 날이면, 발끝부터 뜨겁게 달아오르는 듯한 열기가 밀려옵니다. 이때 느껴지는 뜨거움은 단순한 기온 때문만이 아니라, 지면에서 올라오는 복사열 의 영향이 큽니다. 1. 지면에서 불과 1.5m 차이, 온도는 11℃ 이상 차이 기상청 관측에 따르면, 여름철 도로 표면 온도는 45℃를 넘기도 합니다. 같은 시각, 성인 평균 목 높이인 1.5m에서는 34℃ 정도로 측정됩니다. 불과 1.5m 높이 차이가서 11℃ 이상의 온도 차이가 나는 셈입니다. 즉, 키가 작을수록 지면 복사열에 더 가까워져 체감 더위가 강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키가 작은 어린이나 유모차에 탄 아기는 성인보다 훨씬 뜨거운 공기에 노출됩니다. 2. 어린이가 더 더위에 민감한 이유 어린이는 단순히 키가 작아서만이 아니라, 체온 조절 능력 자체가 미숙합니다. 신진대사율이 높아 몸속에서 열이 많이 발생합니다. 땀샘과 혈관 반응이 미숙해 열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속도가 느립니다. 체중 대비 체표면적이 넓어 외부 열을 더 빨리 흡수합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같은 환경에서도 성인보다 훨씬 빠르게 체온이 올라갑니다. 특히 폭염 속에서는 짧은 시간만 노출돼도 탈수나 열탈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노인도 폭염에 취약한 이유 노인은 발한 기능이 떨어지고, 혈관 반응 속도도 느려져 체온을 식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게다가 더위를 인지하는 능력까지 저하되기 때문에 위험 신호를 늦게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더운 날에는 의식적으로 규칙적인 수분 섭취를 하고, 폭염 특보 시 한낮 외출을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두통, 어지럼증, 구토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시원한 장소로 이동해 체온을 낮추고 필요 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4 키 큰 사람도 안심할 수 없는 이유 키가 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