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마시는 커피의 두 얼굴 - 발암물질(아크릴아미드) 논란, 팩트 체크
Ⅰ. '매일 마시는 커피, 정말 암을 유발할까?' '아메리카노에도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 이 말, 한 번쯤 들어보신 적 있죠? 요즘 SNS나 유튜브에서 이런 이야기들이 가끔 퍼집니다. ‘커피 속 발암물질’, ‘뜨거운 커피가 암을 부른다’, ‘강배전은 위험하다’ 같은 제목은 클릭을 유도하기에 딱 좋습니다. 하지만 막상 내용을 보면, 과학적 근거보다는 불안과 오해가 뒤섞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 정말 커피 속에 ‘발암물질’이 있을까요? 그리고 우리가 매일 마시는 아메리카노는 위험한 걸까요? Ⅱ. 커피 속 발암물질? 이름부터 낯선 ‘아크릴아미드’ 커피가 논란에 오른 이유 중 하나는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라는 물질 때문입니다. 이건 커피콩(원두)을 고온으로 볶는 과정, 즉 로스팅 중 자연적으로 생기는 화합물 이에요.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이 물질이 고온에서 조리된 탄수화물 식품 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감자튀김, 과자, 시리얼, 빵, 심지어 토스트된 식빵에서도 발견됩니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실험동물에서 고용량의 아크릴아미드를 투여했을 때 암이 유발되는 사례를 보고, 이 물질을 '인간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Group 2A)' 로 분류했습니다. 이 말만 보면 무섭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사실 하나, ‘가능성 있음’과 ‘실제 위험함’은 전혀 다른 문제 입니다. 아크릴아미드 확인해보세요(식품안전나라)! Ⅲ. ‘가능성’은 ‘현실 위험’이 아니다 '일상적인 식품 섭취를 통해 들어오는 아크릴아미드의 양이 인체 암 위험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는 충분하지 않다.' 실험에서 사용된 농도는 우리가 커피로 마시는 수준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만큼 높습니다. 즉, 동물실험에서의 고농도 결과를 인간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부정확 하다는 뜻입니다. 더 흥미로운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