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동차안전인 게시물 표시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급가속 논란을 끝낼 열쇠 될까? - 2029년부터 신차 의무 장착

이미지
급발진 사고는 매년 뉴스에 오르내리지만, 정작 원인을 명확히 밝히기는 어려웠습니다. 브레이크 대신 엑셀을 밟았다는 주장과, 차량의 전자제어 시스템 결함이라는 반박이 엇갈리며 논란이 반복됐죠. 이런 상황에서 국토교통부가 2029년부터 ‘페달오조작 방지장치’ 의무장착을 추진 하면서, '이제 급가속 논란이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1. 페달오조작 방지장치란 무엇인가 ‘페달오조작 방지장치’는 운전자가 정지 상태에서 잘못 가속 페달을 밟아도 차량이 급가속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안전장치 입니다. 쉽게 말하면, 주차장에서 후진 대신 앞으로 튀어나가는 사고, 신호대기 중 실수로 가속 페달을 꾹 밟아버리는 사고를 미리 막는 장치입니다. ▶ 작동 원리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 1~1.5m 이내에 장애물 (차, 벽, 보행자 등)이 감지되면, 운전자가 급가속 페달을 밟더라도 차량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한 합니다. 즉, ‘사고가 일어날 만한 급가속 신호’를 감지하면 엔진 또는 모터 출력을 줄이는 방식 입니다. ▶ 국제 기준과 동일한 기술 이 제도는 유엔 자동차안전기준(UNECE R152) 과 동일한 수준으로 설계됩니다. 일본·유럽 등에서 이미 시행 중인 급가속 억제 시스템(MMASS) 과 같은 구조로, 국제 안전기준과의 조화를 고려한 것입니다.  ▪️ 핵심 요약 작동 조건 : 차량 정지 + 장애물 감지 + 급가속 입력 기능 : 엔진 또는 모터 출력 제한 국제 수준 : UNECE R152와 동일 2. 언제부터, 어떤 차에 의무화되나 국토교통부는 이 제도를 두 단계로 나누어 적용합니다. 구분 적용 시점 대상 1단계 2029년 1월 1일 승용 신차(국내 제작·수입) 2단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