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러닝, 정말 괜찮을까? 열사병·심장마비 위험보다 더 무서운 여름 운동의 함정
1. 폭염 속 러닝, 정말 괜찮을까? SNS와 현실 사이, 건강과 습관 사이에서 요즘 주변을 보면 러닝에 빠진 사람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아파트 단지 산책로부터 강변까지, 숏팬츠에 가벼운 러닝화를 신고 경쾌하게 뛰는 모습이 참 인상적입니다.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더운데... 진짜 괜찮은 걸까?’ SNS를 보면 땀에 젖은 운동복, 근육 잡힌 실루엣, 그리고 '#런닝' 해시태그가 가득합니다. 그 모습을 보면 '나도 오늘은 좀 뛰어볼까?' 싶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요즘 같은 폭염에 과연 이게 몸에 좋기만 할까 걱정도 되죠. 실제로 서울은 연일 체감온도 35도를 넘기고 있고, 폭염특보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그 속에서 땀을 뻘뻘 흘리며 뛰는 사람들을 보면 멋있기보다 조금 위험해 보이기도 합니다. ☀️ 여름철 폭염 기준은 보통 기온 33도 이상 또는 체감온도 32도 이상 일 때로, 이런 상황에서의 야외 활동은 질병관리청과 대한운동사협회 모두 자제 권고 하고 있습니다. 2. 폭염 속 러닝, 정말 위험한 이유 땀 많이 흘린다고 건강해지는 게 아닙니다 폭염에 러닝을 하면 단순히 더 덥고 땀이 많이 난다는 문제가 아닙니다. 실제로 심각한 생리학적 변화 가 몸 안에서 동시에 일어납니다. 체온 상승 → 땀 배출 → 탈수 → 혈액 농축 → 이 상태에서 뛰면 심장이 더 빨리 뛰고, 혈압은 떨어지며, → 심한 경우 심장마비 나 열사병 으로 실신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위험도↑ 땀을 너무 많이 흘리면 체내 전해질 불균형 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에 문제가 생기고, 특히 기저질환이 있다면 평소보다 훨씬 쉽게 뇌경색 또는 뇌출혈 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미국심장협회(AHA)는 폭염 속 격렬한 유산소 운동은 심혈관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심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