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냉동식품인 게시물 표시

유통기한 지나도 괜찮을까? 냉동 만두 논란으로 본 '소비기한'의 기준

이미지
1. 냉동실 속 1년 된 만두, 먹어도 될까? 한 번쯤 냉동실 한켠에서 ‘언제 넣었는지도 모를 만두 봉지’를 발견한 적 있으실 겁니다. '아깝긴 한데… 1년 넘은 건 버려야겠지?' 하지만 최근 뉴스에서 '냉동만두 500일 지나도 먹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정말 ‘유통기한이 지난 냉동식품’을 먹어도 되는 걸까요? 2.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이름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르다 우리에게 익숙한 ‘유통기한’은 사실 판매 기준 이었습니다. 제품을 안전하게 ‘팔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죠. 반면 ‘소비기한’은 그보다 훨씬 현실적인 개념입니다. ' 표시된 보관 방법을 지켰을 때, 소비자가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실제 기한' 즉, 유통기한 = 판매자 중심 소비기한 = 소비자 중심 으로 바뀐 것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2023년부터 단계적으로 이 제도를 도입하며 '소비기한은 유통기한보다 평균 30~50% 더 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덕분에 아직 먹을 수 있는데도 버려지던 식품들이 줄어들게 된 것이죠. 3. 소비기한제 도입의 숨은 목적 – ‘버려지는 음식 줄이기’ 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이 많은 나라입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약 0.29kg의 음식물을 버리고 있습니다. 그중 상당수가 유통기한이 지났다는 이유만으로 폐기 되는 음식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약처는 ‘소비기한 표시제’를 통해 실제 섭취 가능한 기간을 과학적으로 산정 하기 시작했습니다. 즉, 단순히 '기한을 늘린다'가 아니라, '먹어도 안전한 기준을 실험으로 검증한다'는 접근입니다. 소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