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시경·대장내시경·CT·PET-CT 건강 검진 - 과잉 검사 피하는 안전 주기
건강검진, 자주 할수록 좋은 걸까? 건강검진은 '미리미리 많이 받을수록 좋다'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위내시경도 매년 받고, 종합검진 패키지도 틈틈이 하고, 혹시라도 놓치면 불안한 마음까지 들죠.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모든 검사를 자주 하는 것이 결코 좋은 것만은 아니다' 라는 사실이 명확하게 존재합니다. 실제로 일부 검사는 권고 주기보다 자주 하면 오히려 출혈·천공 같은 합병증, 불필요한 방사선 노출, 과잉진단 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자주 하면 해로운 4대 건강검진 1) 위내시경 권고 주기 : 우리나라 국가검진 권고안에 따르면, 만 40세 이상 무증상 성인에게 2년에 한 번 위내시경 검사가 권고됩니다. 왜 자주 하면 해로운가? 위내시경은 조기 위암 발견에 매우 중요한 검사이지만, 매번 할 때마다 점막 손상·출혈· 드물게는 위나 식도 천공 같은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정리 : 증상도 없는데 매년 반복할 필요는 없으며, 2년에 한 번 이면 충분합니다. 단, 가족력이나 고위험군일 경우엔 담당 의사와 상의해 간격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대장내시경 권고 주기 : 국제적으로 무증상 일반인의 경우 5~10년 간격 이 권장됩니다. 왜 자주 하면 해로운가? 대장내시경도 시술 과정에서 드물지만 장 천공이나 출혈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매년 반복한다고 해서 조기 발견 효과가 늘어나는 건 아니지만, 합병증 위험은 불필요하게 증가합니다. 정리 : 특별한 용종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5~10년 간격 으로도 충분합니다. 3) CT 검사 권고 상황 : 교통사고, 뇌졸중, 특정 장기 질환 의심 등 필요할 때만 시행 해야 하는 검사입니다. 왜 자주 하면 해로운가? CT는 일반 엑스레이보다 방사선 노출이 훨씬 높습니다. 반복적으로 찍을수록 누적 피폭이 커지고, 이론적으로는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리 : 무증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