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축통화인 게시물 표시

달러 패권 무너질까? 탈달러화 뉴스가 내 통장에 주는 경고

이미지
1. 왜 지금 ‘달러’를 다시 주목해야 할까? 최근 뉴스를 보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탈달러화(De-dollarization)'. 탈달러화란, 국제 거래와 금융시장에서 미국 달러 의존도를 줄이려는 흐름 을 의미한다. 브릭스(BRICS) 국가들이 공동 통화를 추진한다는 이야기부터, 쿠바에서 미국 달러가 다시 일상적으로 쓰인다는 소식까지. 달러는 언제나 국제 경제의 중심에 있었지만, 2025년 들어 그 위치가 예전 같지 않다는 말도 심심찮게 들린다. 그런데 잠깐. ‘달러’ 하면 대부분 미국을 떠올리지만, 알고 보면 달러라는 이름을 쓰는 나라 는 꽤 많다. 홍콩달러, 싱가포르달러, 호주달러, 뉴질랜드달러까지. 이름은 같지만 환율도 다르고, 발행 주체도 다르다. 어쩌다 이렇게 된 걸까? 2. ‘달러’의 정체 - 같은 이름, 다른 통화들 ‘달러(Dollar)’라는 단어는 사실 미국에서 시작된 게 아니다. 16세기 유럽 보헤미아 지방(지금의 체코)에서 사용된 은화 ‘탈러(Thaler)’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 은화는 신뢰성과 정밀성으로 유럽 전역에 퍼졌고, 영어권에서는 그 발음을 따서 ‘달러(Dollar)’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미국은 18세기 독립 이후, 자국 통화에 이 ‘달러’라는 이름을 채택했고 이후 전 세계에 미국의 영향력이 커지며 ‘달러 = 미국 달러’처럼 인식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나라가 각자의 ‘달러’를 사용하고 있다. 아래는 대표적인 예다. 국가 통화명 국제 코드 특징 미국 미국 달러 USD 세계 기축통화 캐나다 캐나다 달러 CAD 자국 기준 금리 및 정책 유지 호주 호주 달러 AUD 자원 기반 경제 영향 큼 홍콩 홍콩 달러 HKD 미국 달러에 고정 환율 연동 싱가포르 싱가포르 달러 SGD 환율 변동 허용, 통화바스켓 연동 뉴질랜드 뉴질랜드 달러 NZD 농업 및 관광 중심 대만 신타이완...